본문 바로가기
경제 생활

만 나이 통일, 만나이 계산기 계산방법

by 굿보이스 2022. 4. 12.
반응형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한국식 나이와 국제표준인 '만 나이'의 혼용에서 빚어지는 혼란을 없애고자 '만 나이'로 법적, 사회적 나이 계산법을 통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내 법 개정안을 마련하며 '만 나이' 시행되면 최대 두 살이 어려집니다. 만 나이 계산기를 통해 나이를 확인해 보도록 하시죠.

 

만 나이 계산기 통일
만 나이 계산기 / 통일

 

만 나이 계산기

 

생년월일과 기준일을 입력하고 < 나의 만 나이는?>을 클릭하면 만 나이를 볼 수 있습니다.

 

만나이 계산기

 

생년월일 1991.11.01 / 기준일 2022.04.12

만 나이는? 

'만 30세 양띠' 조회됩니다.

 

 

만 나이 계산기 (클릭)

 

 

나의 만 나이를 알지만 한 번 해보는 것도 괜찮군여~

 

만 나이로 통일하는 이유

만 나이로 통일하게 되면 나이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인한 혼란과 불편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입법과 국민 의식 전환이 필요하여 정착하기 위해서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인수위는 내년까지 관련 법안이 국회 문턱을 넘을 수 있도록 올해 안애 개정안을 마련한다고 합니다. 

 

인수위 정무사법행정분과 간사인 국민의힘 이용호 의원은 "특정 연령을 기준으로 법을 적용하거나 행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때 국민들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라고 밝히며 '만 나이'로 통일하게 되면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없앨 수 있다고 변경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나이 계산법 - 세가지

현재 우리나라에선 나이 계산법이 '한국식 나이'와 '연 나이', '만 나이' 세 가지가 함께 쓰이고 있습니다. 

한국식 나이는  세는 나이,

현재 년도에서 출생 연도를 빼서 계산하는 '연 나이'

출생일을 기준으로 0세부터 시작해 1년 지날 때마다 한 살씩 추가하는 '만 나이'입니다.

 

2020년 5월 생은 2022년 4월 기준으로,

한국식 나이는 세 살, 연 나이로는 두 살, 만 나이는 한 살입니다.

12월에 태어나는 아이들은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1월이 되면 한국식 나이는 2살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전통적인 우리나라에만 있는 한국식 나이 계산법에 대해선 태아 시절에도 한 사람의 인간으로 인정하는 정서가 깔려 있다고 설명하는 의견도 많이 들어왔습니다. 

 

만 나이 계산방법

 

 

 

만 나이는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뺀 후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추가로 1을 빼줍니다.

 

2022년 4월 12일 기준으로 A, B 두 사람의 만 나이를 계산해보면 

A는 1985년 4월 1일 생입니다.

 2022-1985= 37세

생일이 지났으므로 37세 확정

 

B는 1985년 5월 1일 생입니다.

2022 - 1985 = 37세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1 하여 36세 확정

 

나이 계산으로 인한 혼선

실생활에서 혼란이 있던 예를 보겠습니다. 어린이 감기약에 '12세 미만 12ml 복용', '30세 미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예방 접종 미권장', PCR 대상 연령 (만 60세 이상) 등의 표기를 둘러싸고 이 나이가 만 나이인지 한국식 나이인지 문의가 쇄도했다고 합니다. 

 

이런 혼란이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법적 분쟁도 잇었습니다. 한 기업의 단체협약상 임금피크제 적용 연령으로 '56세'라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 나이에 대한 해석이 대법원과 하급심 판결이 달라 6년이  넘는 분쟁이 일기도 했습니다. 노조 측과 사측은 각자의 이익에 따라 만 나이로 1년 늦게, 한국식 나이로 1년 빨리 적용을 주장하며 맞섰기 때문입니다. 

 

'만 나이' 사용 정착되면 법령, 행정, 의료, 국제관계, 각종 계약 등에서 더 이상 나이로 인한 혼란도 오해도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제 경우는 나이 계산에서 혼돈을 겪을 때가 생일 케이크를 사고 초를 주문할 때입니다. 만 나이로 초를 준비하는 사람도 있고, 한국 나이로 초를 준비하는 사람도 있더군요.

 

만 나이 사용 원칙 확립

인수위는 민법과 행정 기본법에 ' 만 나이' 계산법과 표기 규정을 마련해 민사와 행정 분야에서 '만 나이' 사용 원칙을 확립한다는 계획입니다. 이후 현재 '연 나이' 계산법을 채택하고 있는 개별법과 정비할 것입니다. 

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정책 수립이나 공문서 작성 시 만 나이만 사용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인수위는 올해 안에 민법과 행정 기본법 개정안을 마련하여 국회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청소년 보호법과 병역법에 대해서는 현재 '연 나이'를 적용하고 있으며 개정 필요성을 면밀히 검토 후 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만 나이를 시행하면 한두살이 어려집니다. 나 자신의 실제는 그대로이지만 나이로 표시되는 숫자가 어려지는 것이 괜히 기분이 좋을것도 같습니다. 바람이라면 나이을 먹더라도 나이는 숫자일뿐 젊은 마음으로 살기 바라고, 나이에 맞게 외관도 삶도 성숙해지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