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기준 중위소득이 2021년 보다 인상되었습니다. 각종 생활보장제도의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되는 2022년 기준중위소득 100%, 30%, 40%, 50%, 60%, 75%, 80%, 120%, 150%금액을 확인하세요. 기준 중위소득이 활용되는 제도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전 국민을 100명이라고 가정 시 소득규모 순으로 줄 섰을 때 50번째 사람의 소득을 말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초생활보장제도 급여별 선정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심의위원회의 심의 및 의결을 거친 후 고시하는 국민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말합니다.
기준중위소득은 12개 부처 77개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 기준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 1,944,812원
2인 가구 : 3,260,085원
3인 가구 : 4,194,701원
4인 가구 : 5,121,080원
5인 가구 : 6,024,515원
6인 가구 : 6,907,004원
2022년 기준 중위소득 30%
1인가구 : 583,444원
2인가구 : 978,026원
3인가구 : 1,258,410원
4인가구 : 1,536,324원
5인가구 : 1,807,355원
5인가구 : 2,072,101원
2022년 기준 중위소득 40%
1인가구 : 777,925원
2인가구 : 1,304,034원
3인가구 : 1,677,880원
4인가구 : 2,048,432
5인가구 : 2,409,806원
6인가구 : 2,762,802원
2022년 기준 중위소득 50%
1인 가구 : 972,406원
2인가구 : 1,630,043원
3인 가구 : 2,097,351원
4인 가구 : 2,560,540원
5인 가구: 3,012,258원
6인 가구 : 3,453,502원
2022년 기준 중위소득 60%
1인가구 : 1,166,887원
2인가구 : 1,967,051원
3인가구 : 2,516,821원
4인가구 : 3,072,648원
5인가구 : 3,614,709원
6인가구 : 4,144,202원
2022년 기준 중위소득 75%
1인가구 : 1,458,609원
2인가구 : 2,445,064원
3인가구 : 3,146,026원
4인가구 : 3,840,810원
5인가구 : 4,518,386원
6인가구 : 5,180,253원
2022년 기준 중위소득 80%
1인가구 : 1,555,850원
2인가구 : 2,608,068원
3인가구 : 3,355,761원
4인가구 : 4,096,864원
5인가구 : 4,819,612원
6인가구 : 5,525,603원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20%
1인가구 : 2,333,774원
1인가구 : 3,912,102원
3인가구 : 5,033,641원
4인가구 : 6,145,296원
5인가구 : 7,229,418원
6인가구 : 8,299,405원
2022년 기준 중위소득 150%
1인가구 : 2,917,218원
2인가구 : 4,890,128원
3인가구 : 6,292,052원
4인가구 : 7,681,620원
5인가구 : 9,036,773원
6인가구 : 10,360,506원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30%
의료급여는 40%
주거급여는 46%
교육급여는 50%이하 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활용 사회보장사업 현황 (2021년 기준 총 77개)
1. 산재 근로자 생활안정자금융자
2. 근로자 생활안정자금대/부
3. 직업훈련 생계비대/부
4. 청년 구직활동 지원금
5. 취업성공패키지(취업성공수당,참여수당,생계지원수당)
6.해외취업정착지원금
7. 고교 학비 지원
8. 교육정보화 지원
9. 국가장학금
10. 급식비
11. (기초생활) 교육급여
12.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
13. 평생 교육바우처
14. 국가유공자 등 생활 조정수당
15. 국가유공자 의료급여증 발급
16. 독립유공자 손·자녀 생활지원금
17. 보훈요양원 이용지원
18.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 무료법률 구조 지원
19. (기초생활) 주거급여
20. 예술인 창작준비금 지원
21. 개인희생·피산 종합 지원
22. 법률 구조 제도
23. (기초생활) 생계급여
24. (기초생활) 의료급여
25 자활근로(기초, 차상위)
26. 해산장제급여
27. (타 법 의료급여) 북한이탈주민, 무형문화재
28.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29. 긴급복지(생계, 의료, 주거, 사회복지시설 이용지원, 교육 등)
30.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
31. 노인 안 검진 및 개안수술
32. 노인돌봄종합서비스
33. 노인장기요양보험 저소득층 본인일부 부담금 경감
34.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등 영유아 의료비 지원
35. 발달재활서비스
36.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37. 선천성 난청검사 및 보청기 지원
38. 선천성 대사이상검사 및 환아관리 지원
39 소아암환자 의료비 지원
40. 언어발달지원
41. 영유아 건강검진 지원
42. 입원격리 치료 명령 결핵환자 부양 가족생활보호비 지원
43. 자산형성지원사업(희망키움통장1, 2 및 내일키움통장, 청년희망키움통장)
44. 장애(아동) 수당(차상위)
45. 장애아 가족양육 지원
46. 장애인 거주시설 실비 입소 이용료 지원
47. 장애인 무료법률 구조 제도
48.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
49.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
50. 재난적 의료비 지원
5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영양플러스)
52.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53. 지역아동센터 지원
54. 차상위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경감
55. 차상위 계층 확인
56. 취학전 아동 실명예방
57. 치매 검진 지원
58.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사업
59. 희귀 질환자 의료비 지원사업
60. 공공산림 가꾸기
61. 산림서비스 도우미(직접 일자리 사업)
62. 산림재해 일자리 (직접 일자리 사업)
63. 가정폭력·성폭력 피해자 무료 법률 지원
64.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서비스
65. 매체 활용 능력 증진 및 역기능 해소( 청소년 인터넷 · 스마트폰 중독 치료비 지원)
66. 미혼모 부 초기지원
67. 아이 돌봄 서비스
68.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운영지원
69. 청소년 특별지원
70. 청소년 한부모 고교생 교육비 지원
71.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
72. 취약위기 가족돌봄지원(가족역량 강화지원) 사업
73.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74.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지원
75. 어촌 가사도우미 지원
76.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
77. 석면피해 구제급여(급여지급 시 활용)
'경제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저임금 차등화 적용 시기 언제부터? (0) | 2022.04.07 |
---|---|
리브모바일 고객센타/ 가입/변경/해지/유심/할인 (0) | 2022.04.07 |
2022 카타르 월드컵 조추첨 결과 한국팀 경기 시간 전체 경기일정 (0) | 2022.04.03 |
레고랜드 코리아 연간회원권 입장료 위치지도 호텔 리조트 (0) | 2022.04.02 |
거리두기 사적모임 10명, 자정까지 영업, 2주후 야외 노마스크 (0) | 2022.04.01 |
댓글